"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들어가며
비트코인은 2009년 등장 이후 꾸준히 성장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네트워크 확장성과 거래 속도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결국 2017년 블록 크기를 둘러싼 커뮤니티 내 갈등이 발생하면서 비트코인은 하드포크(Hard Fork)를 통해 두 개의 체인으로 분리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 캐시(Bitcoin Cash, BCH)가 탄생하였으며, 이는 더 큰 블록 크기를 도입하여 트랜잭션 속도를 개선하려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본 글에서는 비트코인 블록 크기 논쟁의 배경과 하드포크의 전개 과정, 그리고 비트코인 캐시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겠습니다.
2.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 논쟁: 확장성 문제의 시작
2.1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 제한과 확장성 문제
비트코인은 설계상 1MB 블록 크기 제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초당 약 **7건(TPS, Transactions Per Second)**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 1MB 블록 크기 제한의 이유
- 사토시 나카모토는 블록체인의 보안성과 탈중앙화를 유지하기 위해 블록 크기를 제한하였습니다.
- 블록 크기가 커지면 네트워크 노드의 부담이 증가하여 소수의 대형 채굴자들만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 확장성 문제 발생
- 비트코인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트랜잭션 수수료가 급격히 상승하고, 거래 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 2017년 초에는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가 30~50달러에 이를 정도로 과부하가 심각해졌습니다.
💡 이에 따라 블록 크기를 증가시켜 트랜잭션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주장과, 현재의 크기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하게 되었습니다.
3. 비트코인 확장성 해결책: 세그윗(SegWit) vs. 블록 크기 증가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방법을 논의하였습니다.
3.1 세그윗(Segregated Witness, SegWit) 도입
■ 비트코인 핵심 개발자(코어 팀) 측의 해결책
- 블록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트랜잭션 데이터를 최적화하여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 2017년 8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소프트포크(Soft Fork) 방식으로 세그윗이 도입됨
3.2 블록 크기 증가 주장
■ 일부 채굴자 및 개발자들의 해결책
- 블록 크기를 1MB에서 8MB 이상으로 확대하여 더 많은 트랜잭션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 그러나 블록 크기 증가가 탈중앙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논란이 많았음
💡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결국 2017년 8월 1일,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두 개의 체인으로 분리되는 하드포크가 발생했습니다.
4. 비트코인 캐시(BCH) 하드포크의 진행 과정
4.1 2017년 8월 1일, 하드포크 발생
- 비트코인 캐시(BCH)는 기존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블록 크기를 8MB로 증가시키는 방식을 채택하며 하드포크되었습니다.
- 기존 비트코인(BTC) 체인과의 호환성이 단절되었으며, 비트코인 보유자들은 동일한 수량의 BCH를 자동으로 지급받았습니다.
■ 비트코인 캐시(BCH)의 주요 특징
1. 블록 크기 증가 (1MB → 8MB → 이후 32MB까지 확장)
2. 낮은 거래 수수료 및 빠른 트랜잭션 처리
3.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 일부 추가 (2018년 이후)
5. 비트코인(BTC)과 비트코인 캐시(BCH)의 차이점
항목비트코인(BTC)비트코인 캐시(BCH)
블록 크기 | 1MB | 8MB~32MB |
거래 속도(TPS) | 7 TPS | 100+ TPS |
수수료 | 높음 ($10~$50) | 낮음 ($0.01~$0.10) |
확장성 솔루션 | 세그윗, 라이트닝 네트워크 | 블록 크기 증가 |
네트워크 보안성 | PoW(작업증명), 채굴자 집중 | PoW(작업증명), 해시파워 낮음 |
💡 비트코인은 보안성과 탈중앙화를 중시하는 반면, 비트코인 캐시는 더 빠르고 저렴한 트랜잭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6. 비트코인 캐시의 현재와 전망
6.1 비트코인 캐시의 채택 현황
- 2017년 하드포크 이후 BCH는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일부 온라인 상점과 결제 시스템에서 지원되기 시작했습니다.
- 그러나 BTC보다 채택률이 낮으며, BCH 네트워크의 해시파워가 상대적으로 낮아 보안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6.2 2018년 비트코인 SV(BSV)와의 또 다른 하드포크
- BCH 내부에서도 확장성 논쟁이 발생하면서, 2018년 비트코인 캐시는 또 한 번 하드포크를 경험했습니다.
- 비트코인 캐시(BCH) vs 비트코인 SV(BSV) → 블록 크기와 방향성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체인이 분리됨.
6.3 비트코인 캐시의 미래 전망
■ 장점: 낮은 수수료, 빠른 트랜잭션 속도, 실물 결제에 적합
■ 단점: 낮은 네트워크 보안성, BTC보다 낮은 채택률, 중앙화된 채굴 구조 우려
💡 비트코인 캐시는 빠른 결제 수단으로서 여전히 일부 시장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BTC만큼 강한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7. 결론: 비트코인 캐시 하드포크의 의미
■ 비트코인의 확장성 문제 해결을 위한 논쟁 속에서 탄생
■ 블록 크기를 증가시켜 거래 속도를 향상시키는 접근 방식 채택
■ 비트코인과의 철학적 차이로 인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분리됨
비트코인 캐시의 하드포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탈중앙화와 확장성 간의 균형을 찾기 위한 중요한 논쟁이었으며, 현재까지도 두 접근 방식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Cryp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암호화폐 시장의 대폭락: 버블 붕괴와 규제 논의 심화 (6) | 2025.03.06 |
---|---|
에이다(ADA)와 카르다노(Cardano) 블록체인의 등장 (2017년) (10) | 2025.03.06 |
2016년 다오(DAO) 해킹 사건과 이더리움-이더리움 클래식(ETC) 분리 (12) | 2025.03.06 |
2017년 암호화폐 붐과 ICO(Initial Coin Offering) 열풍 (9) | 2025.03.06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차이점: 블록체인의 두 가지 패러다임 (8) | 2025.03.06 |